병사·부사관·장교 월급
2025년 대한민국 군인의 급여가 특히 병사부터 크게 인상되면서 부사관, 장교까지 월급 체계가 달라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군인 월급표를 정리하고, 병사들의 장병내일준비적금 정부지원금까지 함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병사 월급 (2025년 기준)
2025년 기준 병사의 월급은 아래와 같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병장 기준으로 150만 원을 받으며, 병사 처우가 확연히 개선되었습니다.
이병 : 750,000 원
일병 : 900,000 원
상병 : 1,200,000 원
병장 : 1,500,000 원
장병내일준비적금 + 정부 지원
- 병사들이 가입 가능한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월급 일부와 함께 정부가 550,000원까지 추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병장이 이 적금에 가입할 경우, 최대 2,050,000원까지 월 실수령액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은행 적금과 연계되며, 군 복무 후 목돈 마련에 도움이 됩니다.
월급은 공무원 보수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복무 연차 및 근무 조건에 따라 수당이 추가됩니다. 아래는 1호봉 기준 기본급입니다.
부사관 및 준사관 월급 (1호봉 기준)

하사 : 1,933,300 원
중사 : 1,988,500 원
상사 : 2,384,500 원
원사 : 3,447,400 원
준위 : 2,458,300 원
위관 월급 (1호봉 기준)

소위 : 1,949,200 원
중위 : 2,102,600 원
대위 : 2,658,500 원
영관 월급 (1호봉 기준)

소령 : 3,268,300 원
중령 : 3,987,000 원
대령 : 4,513,200 원
장성 월급 (1호봉 기준)

준장 : 5,559,100 원
소장 : 5,892,800 원
중장 : 9,083,400 원
대장 : 9,248,300 원
해당 금액은 기본급만 기준이며, 위험수당, 직책수당, 근무지 수당 등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대한민국 대통령 (원수☆☆☆☆☆)
연봉 : 262,000,000원
월급 : 21,880,000원
군인연금 제도
군인은 일정 기간 이상 복무하면 군인연금 수급 자격을 얻게 됩니다.
- 퇴역연금: 20년 이상 복무 후 퇴직 시 평생 연금 지급
- 유족연금: 복무 중 사망 또는 퇴직 후 일정 기간 내 사망 시 유족에게 지급
- 일시금 수령도 가능, 선택적 수령 가능
군인연금은 안정된 노후 준비를 위한 제도로, 공무원연금과 유사한 구조입니다.
마무리 요약
- 병사 월급: 최대 150만 원 (병장 기준)
- 장병내일준비적금: 정부 지원 포함 시 최대 205만 원 실수령 가능
- 하사/소위 1호봉: 약 189~193만 원 + 다양한 수당
- 군인연금: 20년 이상 복무 시 평생 연금 수령 가능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유심(USIM) 해킹 이렇게 대응하세요. (2) | 2025.04.28 |
---|---|
유니콘 기업이란? 2025년 국내 유니콘기업 현황 (7) | 2025.04.21 |
조용한 부자의 미학 Quiet Luxury (9) | 2025.04.07 |
한국은행에서 디지털화폐를 발행한다고? (11) | 2025.04.02 |
수요와 공급의 원리 : 균형가격 (13)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