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수요와 공급의 원리 : 균형가격

by ambition money 2025. 3. 31.

수요와 공급의 원리

경제학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수요와 공급(Demand & Supply)입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면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상품이 부족하거나 과잉 공급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아파트  가격도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정치적인 부분에 의해서도 많이 번돈되는데, 시장경제의 원리대로 흘러가도록 내버려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수요량, 공급량, 균형가격, 균형거래량의 개념을 실제 사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수요와 공급이란?

수요(Demand): 소비자가 특정 가격에서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향
공급(Supply): 생산자가 특정 가격에서 상품을 판매하려는 의향

📌 쉽게 말해,

  • 수요는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사려고 하는 것
  • 공급은 기업이 시장에 내놓는 것

예를 들어,

삼겹살 가격이 낮아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삼겹살을 사려고 할 것(수요 증가).
반대로 가격이 높으면 덜 사려고 할 것(수요 감소).

반면, 삼겹살 가격이 높으면 돼지고기 농가는 더 많이 생산하려 할 것(공급 증가).
가격이 낮으면 생산을 줄일 것(공급 감소).


2. 수요량과 공급량

수요량(Quantity Demanded) 📉

  • 특정 가격에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수량
  • 가격이 낮을수록 수요량 증가,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량 감소 (역의 관계)

📌 예시)
✔ 스타벅스 커피 가격이 4,000원 → 3,000원으로 낮아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사려함 → 수요량 증가
✔ 반대로 가격이 4,000원 → 6,000원으로 오르면 소비자들이 덜 사게 됨 → 수요량 감소

공급량(Quantity Supplied) 📈

  • 특정 가격에서 기업이 공급하려는 상품의 수량
  • 가격이 높을수록 공급량 증가, 가격이 낮을수록 공급량 감소 (정의 관계)

📌 예시)
✔ 스마트폰 가격이 상승하면 제조업체들은 더 많은 스마트폰을 생산하여 판매하려 함 → 공급량 증가
✔ 반대로 가격이 낮아지면 이익이 줄어들어 생산을 줄이려 함 → 공급량 감소


3.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균형가격(Equilibrium Price):

  • 수요량과 공급량이 서로 일치하는 가격
  • 이 가격에서 시장이 안정됨

균형거래량(Equilibrium Quantity):

  • 균형가격에서 실제 거래되는 상품의 수량

📌 균형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현상
가격이 너무 높을 때 (초과 공급, Surplus)

  • 공급량이 많고 수요량이 적어 재고가 쌓임 → 기업은 가격을 낮춰야 함

가격이 너무 낮을 때 (초과 수요, Shortage)

  • 수요량이 많고 공급량이 적어 품귀현상이 발생 → 가격이 상승함

📌 사례) 마스크 가격 변동 (2020년 COVID-19 팬데믹 당시)
✔ 코로나19 확산 초기 마스크 수요 급증 → 가격 급등 (초과 수요 발생)
✔ 정부가 마스크 공급을 늘리면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격이 안정됨


4. 수요와 공급 곡선

가격(₩) 수요량(개) 공급량(개)
1,000 100 10
2,000 80 30
3,000 60 60 (균형점)
4,000 40 90
5,000 20 120

📌 설명:
3,000원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음 → 균형가격
✔ 가격이 5,000원으로 오르면 공급 과잉(초과 공급) 발생
✔ 가격이 1,000원으로 내리면 상품이 부족(초과 수요) 발생


5. 수요와 공급이 변할 때 가격 변화

수요 증가 → 가격 상승
수요 감소 → 가격 하락
공급 증가 → 가격 하락
공급 감소 → 가격 상승

📌 실제 사례: 반도체 가격 변동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IT 기기, 자동차 등) → 반도체 가격 상승 📈
✔ 2023년 공급 과잉 발생 → 반도체 가격 하락 📉


6. 결론: 투자전략

한정판 신발 등의 가격이 비싼 이유는 수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는 많기 때문에 웃돈을 주고 거래되는 등 가격이 오릅니다.

💡 수요와 공급은 경제의 기본 원리이며, 이를 이해하면 투자에도 유리함
📌 가격이 오르는 이유? 수요 증가 또는 공급 감소
📌 가격이 내리는 이유? 공급 증가 또는 수요 감소

예를 들어,

  •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상승 가능성
  • 원유 공급이 감소하면 휘발유 가격 상승 가능성